열거형 정의하기

Rectanglewidthheight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구조체가 서로 연관된 필드 및 데이터를 묶는 방법을 제공한다면, 열거형은 어떤 값이 여러 개의 가능한 값의 집합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RectangleCircleTriangle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양들의 집합 중 하나라고 표현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러스트는 가능한 것들을 열거형으로 나타내게 해줍니다.

IP 주소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서, 어떤 상황에서 열거형이 구조체보다 유용하고 적절한지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IP 주소 표준은 IPv4, IPv6 두 종류입니다(앞으로 v4, v6로 표기하겠습니다). 우리가 만들 프로그램에서 다룰 IP 종류는 이 두 가지가 전부이므로, 이처럼 가능한 모든 배리언트 (variant) 들을 죽 늘어놓을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열거형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입니다.

IP 주소는 반드시 v4나 v6 중 하나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열거형 자료 구조에 적합합니다. 왜냐하면, 열거형의 값은 여러 배리언트 중 하나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v4, v6는 근본적으로 IP 주소이기 때문에, 이 둘은 코드에서 모든 종류의 IP 주소에 적용되는 상황을 다룰 때 동일한 타입으로 처리되는 것이 좋습니다.

IpAddrKind라는 열거형을 정의하면서 포함할 수 있는 IP 주소인 V4V6를 나열함으로써 이 개념을 코드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들을 열거형의 배리언트라고 합니다:

enum IpAddrKind {
    V4,
    V6,
}

fn main() {
    let four = IpAddrKind::V4;
    let six = IpAddrKind::V6;

    route(IpAddrKind::V4);
    route(IpAddrKind::V6);
}

fn route(ip_kind: IpAddrKind) {}

이제 IpAddrKind는 코드 어디에서나 쓸 수 있는 커스텀 데이터 타입이 되었습니다.

열거형 값

아래처럼 IpAddrKind의 두 개의 배리언트에 대한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enum IpAddrKind {
    V4,
    V6,
}

fn main() {
    let four = IpAddrKind::V4;
    let six = IpAddrKind::V6;

    route(IpAddrKind::V4);
    route(IpAddrKind::V6);
}

fn route(ip_kind: IpAddrKind) {}

열거형을 정의할 때의 식별자로 네임스페이스가 만들어져서, 각 배리언트 앞에 이중 콜론(::)을 붙여야 한다는 점을 주의하세요. 이 방식은 IpAddrKind::V4, IpAddrKind::V6가 모두 IpAddrKind 타입이라는 것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이제 IpAddrKind 타입을 인수로 받는 함수를 정의해 봅시다:

enum IpAddrKind {
    V4,
    V6,
}

fn main() {
    let four = IpAddrKind::V4;
    let six = IpAddrKind::V6;

    route(IpAddrKind::V4);
    route(IpAddrKind::V6);
}

fn route(ip_kind: IpAddrKind) {}

그리고, 배리언트 중 하나를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enum IpAddrKind {
    V4,
    V6,
}

fn main() {
    let four = IpAddrKind::V4;
    let six = IpAddrKind::V6;

    route(IpAddrKind::V4);
    route(IpAddrKind::V6);
}

fn route(ip_kind: IpAddrKind) {}

열거형을 사용하면 더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IP 주소 타입에 대해 더 생각해 보면, 지금으로서는 실제 IP 주소 데이터를 저장할 방법이 없고 어떤 종류인지만 알 수 있습니다. 5장에서 구조체에 대해 배웠다면, 이 문제를 예제 6-1처럼 구조체를 사용하여 해결하고 싶을 수 있겠습니다:

fn main() {
    enum IpAddrKind {
        V4,
        V6,
    }

    struct IpAddr {
        kind: IpAddrKind,
        address: String,
    }

    let home = IpAddr {
        kind: IpAddrKind::V4,
        address: String::from("127.0.0.1"),
    };

    let loopback = IpAddr {
        kind: IpAddrKind::V6,
        address: String::from("::1"),
    };
}

예제 6-1: struct를 사용해서 IP 주소의 데이터와 IpAddrKind 배리언트 저장하기

여기서는 IpAddrKind (이전에 정의한 열거형) 타입인 kind 필드와 String 타입인 address 필드를 갖는 IpAddr를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이 구조체의 인스턴스 두 개를 생성했습니다. 첫 번째 homekind의 값으로 IpAddrKind::V4를, 연관된 주소 데이터로 127.0.0.1을 갖습니다. 두 번째 loopbackIpAddrKind의 다른 배리언트인 V6를 값으로 갖고, 연관된 주소로 ::1을 갖습니다. kindaddress의 값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조체를 사용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배리언트가 연관된 값을 갖게 되었습니다.

각 열거형 배리언트에 데이터를 직접 넣는 방식을 사용해서 열거형을 구조체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식보다 더 간결하게 동일한 개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IpAddr 열거형의 새로운 정의에서 두 개의 V4V6 배리언트는 연관된 String 타입의 값을 갖게 됩니다:

fn main() {
    enum IpAddr {
        V4(String),
        V6(String),
    }

    let home = IpAddr::V4(String::from("127.0.0.1"));

    let loopback = IpAddr::V6(String::from("::1"));
}

열거형의 각 배리언트에 직접 데이터를 붙임으로써, 구조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또한 여기서 열거형의 동작에 대한 다른 세부 사항을 살펴보기가 좀 더 쉬워졌습니다: 각 열거형 배리언트의 이름이 해당 열거형 인스턴스의 생성자 함수처럼 된다는 것이죠. 즉, IpAddr::V4()String 인수를 입력받아서 IpAddr 타입의 인스턴스 결과를 만드는 함수입니다. 열거형을 정의한 결과로써 이러한 생성자 함수가 자동적으로 정의됩니다.

구조체 대신 열거형을 사용하면 또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각 배리언트는 다른 타입과 다른 양의 연관된 데이터를 가질 수 있습니다. V4 IP 주소는 항상 0 ~ 255 사이의 숫자 4개로 된 구성 요소를 갖게 될 것입니다. V4 주소에 4개의 u8 값을 저장하길 원하지만, V6 주소는 하나의 String 값으로 표현되길 원한다면, 구조체로는 이렇게 할 수 없습니다. 열거형은 이런 경우를 쉽게 처리합니다:

fn main() {
    enum IpAddr {
        V4(u8, u8, u8, u8),
        V6(String),
    }

    let home = IpAddr::V4(127, 0, 0, 1);

    let loopback = IpAddr::V6(String::from("::1"));
}

두 가지 다른 종류의 IP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코드에 열거형을 정의하는 몇 가지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알듯이 IP 주소와 그 종류를 저장하는 것은 흔하기 때문에, 표준 라이브러리에 정의된 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IpAddr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위에서 정의하고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열거형과 배리언트를 갖고 있지만, 배리언트에 포함된 주소 데이터는 두 가지 다른 구조체로 되어 있으며, 각 배리언트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struct Ipv4Addr {
    // --생략--
}

struct Ipv6Addr {
    // --생략--
}

enum IpAddr {
    V4(Ipv4Addr),
    V6(Ipv6Addr),
}
}

이 코드로 알 수 있듯, 열거형 배리언트에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라도 넣을 수 있습니다. 문자열, 숫자 타입, 구조체 등은 물론, 다른 열거형마저도 포함할 수 있죠! 이건 여담이지만, 러스트의 표준 라이브러리 타입은 여러분의 생각보다 단순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현재 스코프에 표준 라이브러리를 가져오지 않았기 때문에, 표준 라이브러리에 IpAddr 정의가 있더라도 동일한 이름의 타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음을 주의하세요. 타입을 스코프로 가져오는 것에 대해서는 7장에서 더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6-2에 있는 열거형의 다른 예제를 살펴봅시다. 이 예제에서는 각 배리언트에 다양한 종류의 타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enum Message {
    Quit,
    Move { x: i32, y: i32 },
    Write(String),
    ChangeColor(i32, i32, i32),
}

fn main() {}

예제 6-2: Message 열거형은 각 배리언트가 다른 타입과 다른 양의 값을 저장합니다.

이 열거형에는 다른 데이터 타입을 갖는 네 개의 배리언트가 있습니다:

  • Quit은 연관된 데이터가 전혀 없습니다.
  • Move은 구조체처럼 이름이 있는 필드를 갖습니다.
  • Write은 하나의 String을 가집니다.
  • ChangeColor는 세 개의 i32을 가집니다.

예제 6-2에서처럼 배리언트로 열거형을 정의하는 것은 다른 종류의 구조체들을 정의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열거형이 구조체와 다른 점은 struct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모든 배리언트가 Message 타입으로 묶인다는 것입니다. 아래 구조체들은 이전 열거형의 배리언트가 갖는 것과 동일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습니다:

struct QuitMessage; // 유닛 구조체
struct MoveMessage {
    x: i32,
    y: i32,
}
struct WriteMessage(String); // 튜플 구조체
struct ChangeColorMessage(i32, i32, i32); // 튜플 구조체

fn main() {}

각기 다른 타입을 갖는 여러 개의 구조체를 사용한다면, 이 메시지 중 어떤 한 가지를 인수로 받는 함수를 정의하기 힘들 것입니다. 예제 6-2에 정의한 Message 열거형은 하나의 타입으로 이것이 가능합니다.

열거형과 구조체는 한 가지 더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구조체에 impl을 사용해서 메서드를 정의한 것처럼, 열거형에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 Message 열거형에 정의한 call이라는 메서드가 있습니다:

fn main() {
    enum Message {
        Quit,
        Move { x: i32, y: i32 },
        Write(String),
        ChangeColor(i32, i32, i32),
    }

    impl Message {
        fn call(&self) {
            // 메서드 본문이 여기 정의될 것입니다
        }
    }

    let m = Message::Write(String::from("hello"));
    m.call();
}

메서드 본문에서는 self를 사용하여 호출한 열거형의 값을 가져올 것입니다. 이 예제에서 생성한 변수 mMessage::Write(String::from("hello")) 값을 갖게 되고, 이 값은 m.call()이 실행될 때 call 메서드 안에서 self가 될 것입니다.

이제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열거형 중에서 굉장히 유용하고 자주 사용되는 Option 열거형을 살펴봅시다:

Option 열거형이 널 값보다 좋은 점들

이번 절에서는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열거형으로 정의된 또 다른 타입인 Option에 대한 사용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Option 타입은 값이 있거나 없을 수 있는 아주 흔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비어있지 않은 리스트의 첫 번째 아이템을 요청한다면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비어있는 리스트로부터 첫 번째 아이템을 요청한다면 아무 값도 얻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이 개념을 타입 시스템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처리해야 하는 모든 경우를 처리했는지 컴파일러가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버그를 방지해줍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디자인은 가끔 어떤 기능들이 포함되었는지의 관점에서 생각되기도 하지만, 어떤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냐도 중요합니다. 러스트는 다른 언어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널 (null) 개념이 없습니다. 은 값이 없음을 표현하는 하나의 값입니다. 널 개념이 존재하는 언어에서, 변수의 상태는 둘 중 하나입니다. 널인 경우와, 널이 아닌 경우죠.

널을 고안한 토니 호어 (Tony Hoare) 는 그의 2009년 발표 ‘널 참조: 10억 달러짜리 실수 (Null References: The Billion Dollar Mistake)’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저는 그걸 10억 달러짜리 실수라고 부릅니다. 저는 그 당시 객체 지향 언어에서 참조를 위한 첫 포괄적인 타입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있었습니다. 제 목표는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체크를 통해 모든 참조자의 사용이 절대로 안전함을 보장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구현이 무척 간단하다는 단순한 이유로 널 참조를 넣고 싶은 유혹을 참을 수 없었습니다. 이는 수없이 많은 에러와 취약점, 시스템 종료를 유발했고, 아마도 지난 40년간 10억 달러 수준의 고통과 손실을 초래해왔습니다.

널 값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널 값을 널이 아닌 값처럼 사용하려고 할 때 여러 종류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널이나 널이 아닌 속성은 어디에나 있을 수 있고, 너무나도 쉽게 이런 종류의 에러를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현재 어떠한 이유로 인해 유효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값’이라는 널이 표현하려고 하는 개념은 여전히 유용합니다.

널의 문제는 실제 개념에 있기보다, 특정 구현에 있습니다. 이처럼 러스트에는 널이 없지만, 값의 존재 혹은 부재의 개념을 표현할 수 있는 열거형이 있습니다. 그 열거형이 바로 Option<T>이며, 다음과 같이 표준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enum Option<T> {
    None,
    Some(T),
}
}

Option<T> 열거형은 너무나 유용하기 때문에, 러스트에서 기본으로 임포트하는 목록인 프렐루드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의 배리언트 또한 프렐루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Some, None 배리언트 앞에 Option::도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Option<T>는 여전히 그냥 일반적인 열거형이며, Some(T)None도 여전히 Option<T>의 배리언트 입니다.

<T> 문법은 아직 다루지 않은 러스트의 기능입니다. 이것은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 (generic type parameter) 이며, 제네릭에 대해서는 10장에서 더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 지금은 <T>라는 것이 Option 열거형의 Some 배리언트가 어떤 타입의 데이터라도 담을 수 있게 한다는 것, 그리고 T의 자리에 구체적인 타입을 집어넣는 것이 전체 Option<T> 타입을 모두 다른 타입으로 만든다는 것만 알아두면 됩니다. 아래에 숫자 타입과 문자열 타입을 갖는 Option 값에 대한 예들이 있습니다:

fn main() {
    let some_number = Some(5);
    let some_char = Some('e');

    let absent_number: Option<i32> = None;
}

some_number의 타입은 Option<i32>입니다. some_char의 타입은 Option<char>이고 둘은 서로 다른 타입입니다. Some 배리언트 내에 어떤 값을 명시했기 때문에 러스트는 이 타입들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absent_number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Option 타입을 명시하도록 해야 합니다: None 값만 봐서는 동반되는 Some 배리언트가 어떤 타입의 값을 가질지 컴파일러가 추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위 예제에서는 absent_numberOption<i32> 타입임을 명시했습니다.

Some 값을 얻게 되면, 값이 존재한다는 것과 해당 값이 Some 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one 값을 얻게 되면, 얻은 값이 유효하지 않다는, 어떤 면에서는 널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다면 왜 Option<T>가 널보다 나을까요?

간단하게 말하면, Option<T>T(T는 어떤 타입이던 될 수 있음)이 다른 타입이기 때문에, 컴파일러는 Option<T> 값을 명백하게 유효한 값처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 코드는 Option<i8>i8을 더하려고 하고 있으므로 컴파일되지 않습니다:

fn main() {
    let x: i8 = 5;
    let y: Option<i8> = Some(5);

    let sum = x + y;
}

이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 cargo run
   Compiling enums v0.1.0 (file:///projects/enums)
error[E0277]: cannot add `Option<i8>` to `i8`
 --> src/main.rs:5:17
  |
5 |     let sum = x + y;
  |                 ^ no implementation for `i8 + Option<i8>`
  |
  = help: the trait `Add<Option<i8>>` is not implemented for `i8`
  = help: the following other types implement trait `Add<Rhs>`:
            <&'a i8 as Add<i8>>
            <&i8 as Add<&i8>>
            <i8 as Add<&i8>>
            <i8 as Add>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is error, try `rustc --explain E0277`.
error: could not compile `enums` due to previous error

주목하세요! 실제로, 이 에러 메시지는 러스트가 Option<i8>i8를 어떻게 더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둘은 다른 타입이기 때문입니다. 러스트에서 i8과 같은 타입의 값을 가질 때, 컴파일러는 항상 유효한 값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장할 것입니다. 값을 사용하기 전에 널 인지 확인할 필요도 없이 자신 있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직 Option<i8>(혹은 어떤 타입이건 간에)을 사용할 경우에만 값이 있을지 없을지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있으며, 컴파일러는 값을 사용하기 전에 이런 경우가 처리되었는지 확인해 줄 것입니다.

바꿔 말하면, T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Option<T>T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런 방식은 널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문제인, 실제로는 널인데 널이 아니라고 가정하는 상황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널이 아닌 값을 갖는다는 가정을 놓치는 경우에 대한 위험 요소가 제거되면, 코드에 더 확신을 갖게 됩니다. 널일 수 있는 값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값의 타입을 Option<T>로 만들어 줘야 합니다. 그다음엔 값을 사용할 때 명시적으로 널인 경우를 처리해야 합니다. 값의 타입이 Option<T>가 아닌 모든 곳은 값이 널이 아니라고 안전하게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널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문제를 제한하고 러스트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의도된 러스트의 디자인 결정 사항입니다.

그래서, Option<T> 타입인 값을 사용할 때 Some 배리언트에서 T 값을 가져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고요? Option<T> 열거형이 가진 메서드는 많고, 저마다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 한번 문서에서 여러분에게 필요한 메서드를 찾아보세요. Option<T>의 여러 메서드를 익혀두면 앞으로의 러스트 프로그래밍에 매우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일반적으로, Option<T> 값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배리언트를 처리할 코드가 필요할 겁니다. Some(T) 값일 때만 실행돼서 내부의 T 값을 사용하는 코드도 필요할 테고, None 값일 때만 실행될, T 값을 쓸 수 없는 코드도 필요할 겁니다. match 표현식은 열거형과 함께 사용할 때 이런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흐름 구조로, 열거형의 배리언트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고 매칭되는 값 내부의 데이터를 해당 코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